Surprise Me!

[그래픽 뉴스] 고용의 변화

2021-01-13 1 Dailymotion

[그래픽 뉴스] 고용의 변화<br /><br />해를 넘어 계속되고 있는 코로나19.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지난해 고용시장이 받은 충격이 외환위기 이후 최악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이런 가운데에서도 일자리가 증가한 업종도 있었는데요.<br /><br />오늘의 그래픽 뉴스, 고용의 변화입니다.<br /><br />지난해 매월 고용 동향을 보여주는 그래프입니다.<br /><br />전년 대비 취업자 증감 수치인데요.<br /><br />코로나19의 영향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3월, 취업자가 19만5천 명 줄어든 것을 시작으로 감소세가 이어졌고, 3차 대유행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가 올라간 12월에는 취업자가 62만8천 명이나 크게 줄었습니다.<br /><br />결국 지난해 연간 취업자 수, 총 2천690만4천 명으로 전년보다 21만8천 명 감소했습니다.<br /><br />취업자 수가 줄어든 건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이후 11년 만인데요.<br /><br />또 1998년 외환위기 이래 22년 만에 가장 큰 감소 폭을 보였습니다.<br /><br />실업자도 증가했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실업자 수, 총 110만8천 명으로 전년보다 4만5천 명 늘었는데요.<br /><br />실업률은 4%. 지난 2001년 이후 최고치인데, 이 중 15세에서 29세 청년층의 실업률은 2018년 이후 2년 만에 다시 9%대로 올라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한편, 이런 고용 한파 속에서도 뜨고 지는 일자리는 분명하게 엇갈렸는데요.<br /><br />고용보험 가입자가 감소해 인력 구조조정이 진행되는 것으로 보이는 업종, 도매업과 숙박업, 음식·음료업이 속했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로 관광산업이 직격탄을 맞고, 대면서비스업 역시 어려움을 겪는 현실을 보여주는 지표인데요.<br /><br />코로나 시대의 대표적인 '지는 직업'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.<br /><br />반면에 '뜨는 직업'은 뭐가 있을까요?<br /><br />채용이 확대돼 고용보험 가입자가 증가한 업종, 인터넷쇼핑 같은 무점포소매업이 대표적인데요.<br /><br />비대면 바람을 타고 지난해 무점포소매업의 고용보험 가입자, 2만700명 증가했습니다.<br /><br />또 출판업에서 고용보험 가입자가 3만3천여 명 증가했는데, 이 업종에 포함된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에서 고용이 늘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역시 '비대면'이라는 키워드와 일맥상통하는데요.<br /><br />비대면 거래가 활성화됨에 따라 창고운송서비스업 역시 고용이 증가하는 뜨는 직업군으로 꼽혔습니다.<br /><br />비록 전문가가 아니더라도, 우리 모두는 코로나 시대 이전과 이후가 사회 모든 각 분야에서 큰 변화를 맞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가 불러온 수많은 변화들. 고용시장 역시 예외일 수는 없어 보입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그래픽 뉴스였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